생각정리 스킬 2탄!
스피치를 잘 하려면 생각정리부터 시작하라!
"정리되지 않은 말은 상대의 머릿속을 혹사시킨다!"


베껴쓰기 연습중입니다.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 서평을 타자연습겸 베껴쓰기 겸 출판사 서평을 배우고 있습니다.
스피치에 대한 우리의 착각은 표현법을 훈련하면 말까지 잘할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발음 연습을 열심히 하면 발음이 좋아지고, 목소리 훈련을 열심히 하면 목소리가 좋아질 뿐이다. 발음, 발성, 목소리는 스피치에 있어서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이다. 좋은 목소리가 신뢰도와 호감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목소리가 좋아진다고 말까지 잘하게 되는것은 아니다. 방송인 김제동, 유시민 작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올려보자. 그들은 아나운서처럼 목소리가 좋은 편도 아니며 심지어 사투리까지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왜 그럴까? 들을만한 가치가 있는 말이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수백 권의 스피치 책을 읽었다. 스피치 수업도 들어봤다. 그러나 표현법 위주의 커리큘럼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방법을 고민하던 중 문득 '글쓰기 책을 읽어보면 어떨까?' 하는 역발상을 했다. 말과 글이 서로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어쩌면 글쓰기 책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그때부터 관련된 책을 모두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글쓰기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유레카를 외쳤다.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 '소재를 찾는 방법' '논리를 구성하는 방법'등 스피치를 잘하기 위한 생각정리의 기술이 '글쓰기'책에 모두 있었기 때문이다. 이어서 '기획'을 공부했다. 기획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생각정리의 기술이다. 글쓰기도 말하기도 결국 기획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스피치 책이 아니라 글쓰기와 기획을 연구하며 말을 잘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찾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생각정리를 잘하면 스피치는 덤으로 따라온다'는 이치였다.
스피치를 잘하기 위한 생각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 이 책에서 제시하는 것은 스피치 '제대로'만드는 방법이다. 대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글을 쓰는 능력이'향상되고, 말하는 과정에서 '스피치 능력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즉, 스피치 대본을 제대로 만들 수 있다면 '말하기'와 '글쓰기'를 동시에 잡을수 있다.
스피 대본을 쓰기 전 우선 퀘스천맵, 만다라트 등을 통해 노린구조를 만들고 확장해야 한다. 퀘스천맵을 통해 질문을 던져 내용을 확장하고 구체화한다. 그리고 마인드맵을 통해 생각을 구조화한 후 만다라트를 통해 아이디어를 확장하면 된다.
이 책에서는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어지는 스피치 대본을 제대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우선 서론 만들기에는 자기소개 만들기와 오프닝 멘트를 만드는 10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스피치의 설계도를 만드는 본론 부분에서는 내용의 흐름을 만드는 8가지 패턴과 연결메트로 스피치를 세련되는 만드는 방법 등 내요을 구체화하고 논리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진짜 하고 싶은 한마디를 찾는 방법과 상대의 마음을 확실히 사로잡는 엔딩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